강아지는 생후 3~7개월 사이에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자라나는 치아 교환기를 겪습니다.
이 과정에서 보호자가 적절한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치아 문제(이중 치열, 잇몸 염증 등)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강아지 유치가 빠질 때의 대처법과 주의할 점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!
1. 강아지 유치가 빠지는 시기와 과정
✅ 생후 3~4개월: 앞니(절치) 유치가 빠짐
✅ 생후 4~5개월: 송곳니(견치) 유치가 빠짐
✅ 생후 5~7개월: 어금니(구치)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 완성
보호자는 자연스럽게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잘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.
2. 강아지 유치가 빠질 때 보호자가 해야 할 일
① 유치가 빠졌는지 확인하기
강아지는 스스로 유치를 삼키는 경우가 많아 보호자가 빠진 치아를 직접 보지 못할 수도 있어요.
하지만 입 주변에 피가 묻어 있거나, 강아지가 자꾸 입을 만지는 행동을 한다면 유치가 빠진 신호일 수 있어요.
이럴 때는 입안을 살짝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② 출혈이 있는 경우
유치가 빠지면 약간의 출혈이 있을 수 있지만, 보통은 금방 멈춥니다.
하지만 출혈이 오래 지속되거나 피가 많이 난다면 수건이나 거즈로 지혈한 후 동물병원에 방문하세요.
③ 잇몸 관리하기
강아지의 잇몸이 붓거나 빨개지는 경우가 있는데, 이는 치아 교환기 동안 잇몸이 자극받아 생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.
다만, 심한 염증이 생기면 구강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.
✔️ 유치가 빠지는 동안 딱딱한 간식(건조 닭가슴살, 오리목뼈 등)은 피하기
✔️ 물을 자주 마시게 하여 잇몸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기
✔️ 어린 강아지용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해 가볍게 양치질하기
④ 씹을 수 있는 장난감 제공하기
치아 교환기에는 이가 근질근질해서 물고 뜯는 행동이 많아져요.
이때 적절한 씹을 거리(치아 교환기용 장난감, 노즈워크 장난감 등)를 제공하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잇몸 자극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✔️ 추천 아이템:
- 치아 교환기용 실리콘 장난감
- 천연 고무 장난감(콩, 덴탈스틱 등)
- 얼린 당근이나 고구마(부드럽게 씹을 수 있음)
🚫 주의할 점:
- 너무 딱딱한 장난감은 영구치에 부담을 줄 수 있음
- 작은 장난감은 삼킬 위험이 있으니 크기를 확인할 것
3. 이런 경우에는 동물병원 방문이 필요해요!
🚨 유치가 빠지지 않고 그대로 있는 경우
일부 강아지(특히 소형견)는 유치가 자연스럽게 빠지지 않고 영구치와 함께 남아 있는 '유치 잔존'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유치가 남아 있으면 치열이 틀어지거나 치석이 쌓이면서 구강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집니다.
🔍 유치 잔존이 의심되는 경우:
✔️ 영구치가 나왔는데도 유치가 그대로 남아 있음
✔️ 치아가 겹쳐서 자라고 있음
✔️ 입냄새가 심해지고 잇몸이 붉게 부어 있음
✅ 이런 경우에는 동물병원에서 잔존 유치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4. 강아지 치아 교환기 관리 체크리스트 ✅
☑️ 유치가 자연스럽게 빠지는지 확인하기
☑️ 잇몸 출혈이 있으면 가볍게 지혈하기
☑️ 씹을 수 있는 장난감을 제공해 잇몸 자극 완화
☑️ 너무 딱딱한 간식과 장난감은 피하기
☑️ 유치가 남아 있다면 동물병원에서 상담받기
강아지의 치아 건강은 평생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, 어린 시기부터 올바른 관리로 건강한 치아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! 😊
📌 우리 강아지의 건강한 치아 관리를 위해 오늘부터 실천해보세요! 🦷✨
'댕댕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춘기, 우리 강아지가 달라졌어요! 개춘기의 특징과 대처법 (0) | 2025.02.25 |
---|---|
강아지 발정기 증상 및 관리법 –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사항 (1) | 2025.02.23 |
강아지 노산, 언제부터 위험할까? (1) | 2025.02.23 |
강아지가 한숨을 쉬는 이유? 단순 피곤함일까, 숨겨진 신호일까? (0) | 2025.02.21 |
강아지는 들숨과 날숨을 동시에 쉴 수 있을까? (0) | 2025.02.21 |